mobile background

학력

  • 서울대학교 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졸업
  •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전공 졸업
  • 경희대학교 대학원 우주과학과 박사과정 수료
  • 중앙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과 박사

약력

  •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겸임교수(2002~2014)
  • YTN 시청자위원 (2012.10 ~ 2014.9)
  • 조선일보 과학 자문위원 (2001~2003)
  • 한국과학기자협회 명예회원, 한국과학언론인회, 한국과학저술인협회 정회원
  • 과학기술 앰베서더
  • 서울대학교 및 전국대학생 아마추어천문회 회장 (1985)
  • 중앙일보, 천문대 주최 제 3회 천체사진 공모전 대상 (1995)
  • 국내 최초 소행성 발견 (1998), ‘23880 통일’로 명명 (2001)
  • 과학기술부 신지식인 선정 (1999)
  • 사단법인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회장 (2001∼2005)
  • 대전 시민 천문대 대장 (2001~2002)
  • 교육과학기술부 차세대교과서(고등학교) 집필위원(지구과학) (2004~2006)
  •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정 심의위원(지구과학) (2005~2008)
  • 조선시대 화가 신윤복의 월하정인 제작 일자 고증 (2011)

저서

  • 《재미있는 별자리 여행》 (1989. 김영사)
  • 《별밤 365일》 (1990. 현암사)
  • 《쉽게 찾는 우리 별자리》 (1993. 현암사)
  • 《YTN 사이언스플러스 어린이우주백과 10권》 (2005. 리틀어문각)
  • 《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》 (2009. 사이언스주니어)
  • 《이태형의 별자리여행》 (2012. 나녹)
  • 《어린왕자와 함께 떠나는 별자리여행》 (2015. BookStar)

이태형

학력

  • 서울대학교 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졸업
  •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전공 졸업
  • 경희대학교 대학원 우주과학과 박사과정 수료
  • 중앙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과 박사


약력

  •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겸임교수(2002~2014)
  • YTN 시청자위원 (2012.10 ~ 2014.9)
  • 조선일보 과학 자문위원 (2001~2003)
  • 한국과학기자협회 명예회원, 한국과학언론인회, 한국과학저술인협회 정회원
  • 과학기술 앰베서더
  • 서울대학교 및 전국대학생 아마추어천문회 회장 (1985)
  • 중앙일보, 천문대 주최 제 3회 천체사진 공모전 대상 (1995)
  • 국내 최초 소행성 발견 (1998), ‘23880 통일’로 명명 (2001)
  • 과학기술부 신지식인 선정 (1999)
  • 사단법인 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회장 (2001∼2005)
  • 대전 시민 천문대 대장 (2001~2002)
  • 교육과학기술부 차세대교과서(고등학교) 집필위원(지구과학) (2004~2006)
  •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정 심의위원(지구과학) (2005~2008)
  • 조선시대 화가 신윤복의 월하정인 제작 일자 고증 (2011)


저서

  • 《재미있는 별자리 여행》 (1989. 김영사)
  • 《별밤 365일》 (1990. 현암사)
  • 《쉽게 찾는 우리 별자리》 (1993. 현암사)
  • 《YTN 사이언스플러스 어린이우주백과 10권》 (2005. 리틀어문각)
  • 《별난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주견문록》 (2009. 사이언스주니어)
  • 《이태형의 별자리여행》 (2012. 나녹)
  • 《어린왕자와 함께 떠나는 별자리여행》 (2015. BookStar)


2011-07-02

이태형 교수, 달 모양·위치 근거로 '1793년 8월21일' 추정


(서울=연합뉴스) 신호경 기자 = 조선시대 3대 풍속화가인 혜원 신윤복은 그 뛰어난 예술성에도 불구, 활동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안타깝게도 그의 작품들 역시 대부분 정확한 제작 시기를 알 수 없다.


국보 135호 '혜원전신첩(惠園傳神帖)'에 실린 '월하정인(月下情人)'도 마찬가지.


그러나 천문학 지식을 바탕으로 분석하면, 한 쌍의 연인이 은은한 달빛 아래 서 있는 이 그림 속 배경의 정확한 시점을 알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.


2일 이태형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겸임교수에 따르면 '월하정인' 속 '달'의 모양과 위치 등을 근거로 추정한 결과 이 그림은 1793년 8월21일 밤 11시50분께 그려진 것이다.


첫 번째 단서는 그림 속 달의 볼록한 면이 위를 향하고 있다는 점이다. 한 달 주기로 달이 차고 이지러지는 과정에서는 결코 볼 수 없는 현상이다.


달이 뜨는 밤에 태양이 지평선 밑에 있기 때문에,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반사하는 달의 볼록한 부분도 아래를 향할 수밖에 없다. 따라서 그림 속 달의 모양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월식이 있을 때만 가능하다.


또 그림 속 글을 읽어보면, 시간대가 '夜三更(야삼경)'으로 적혀 있다. 이것은 밤 12시 전후의 '자시(子時)'를 말한다. 월식이 일어나는 날은 보름달이 뜨는 날이며, 보름달은 자시 무렵에 가장 하늘 높이 떠오른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 속 달이 겨우 처마 근처에 걸려 있다는 것은, 달의 남중고도(南中高度)가 낮은 여름이라는 뜻이다.



월식에는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과 일부만 잠식되는 부분월식, 두 종류가 있다. 여름철 한밤중에 펼쳐지는 개기월식은 달의 왼쪽부터 가리기 시작해 오른쪽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'월하정인' 속 달 모양은 불가능하다.


이 같은 추정을 바탕으로 이 교수는 신윤복이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약 100년 사이에 있었던, 서울에서 관측 가능한 부분월식에 대한 기록을 조사했다.


그 결과 1784년 8월30일(정조 9년, 신윤복 26세)과 1793년 8월21일(정조 18년, 신윤복 35세) 두 차례의 부분월식이 확인됐다.


그러나 1784년의 경우 8월29일부터 31일까지 서울 지역에 3일 내내 비가 내렸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. 월식이 나타났어도 관찰할 수 없었다는 얘기다.


반면 1793년 8월21일(음력 7월15일)에는 오후에 비가 그쳐 월식 관측이 가능했다. '승정원일기'에도 "7월 병오(丙午·15)일 밤 이경에서 사경까지 월식이 있었다"고 기록돼 있다.


이 교수는 "'월야밀회(月夜密會)', 정변야화(井邊夜話)' 등 다른 그림의 달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, 신윤복은 사실과 무관한 상상의 달을 그리지 않았다"며 "특히 '월하정인'의 위로 볼록한 달은 일상에서 거의 볼 수 없는 것인 만큼, 임의로 그런 달을 그렸다고 생각할 수 없다"고 설명했다.


<신윤복의 '월하정인'>


<'월하정인' 속 달의 위치 추정도>


shk999@yna.co.kr


연합뉴스 원본 기사 바로가기